Q. 시스템을 만들자 : 안전진단 업무를 수행하면서 규정에 맞는 조사 및 보고서 작성시 필요한 시스템
01. 목차 : 자료의 누락
1) 자료 수집
2) 현장 조사 및 시험, 보고서 작성
3) 구조 해석
4) 보고서 검토
02. 세부 내용
1) 자료 수집 단계 / 현장 조사 전 단계
① 각 용역에 목표에 따라 필요한 자료 준비 리스트 및 자료 수집 목록을 정리한다.
- 리스트에는 필요한 자료, 확보한 자료, 확보 진행 중 및 특이사항 등을 기입한다.
② 현장 조사 계획를 작성한다.
- 현장 조사 계획 단계에서는 현장 조사 항목, 조사 수량 등으로 조사 계획서를 만들어 확인를 받는다.
- 리스트에는 현장조사 항목, 조사 수량, 확보 해야할 자료, 기타 주무관과의 협의 내용 등을 계획하여 작성한다.
2) 현장 조사 및 시험, 보고서 작성
① 현장 조사를 완료 후 해당 리스트 항목의 진행 상황, 향후 계획표 등을 포함한 현장 완료 결과 자료를 작성하여 확인 받는다.
- 작성에는 현장조사 완료 항목, 특이사항, 향후 진행 계획 등을 작성한다.
② 현장 조사 자료 정리 단계에서는 각 팀원들과 중복 작업 및 진행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현장조사 자료 정리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진행 상황을 기록하고 공유한다.
④ 보고서 작성 진행 단계에서는 보고서 작성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 작성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진행 상황을 기록하고 공유한다.
⑤ 필요시 중간 검토시 진행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해당 자료를 근거로 작성된 진행 상황 보고서(참고자료 : 현장조사 자료 정리 체크리스, 보고서 작성 체크리스트, 용역별 업무 기록지)를 작성하여 확인를 받는다.
3) 구조 해석(작성 별도)
- 구조 해석 결과 자료를 수집하고 결과 내용을 검토한다.(참고 자료 : 구조 해석 결과 자료 검토 리스트)
4) 보고서 검토
- 팀장, 부장 검토를 마친 보고서는 필요시(FMS 등록 건축물) 제3자(용역 외 팀장, 부장)가 검토를 한다.
- 검토시 각 용역에 특성에 맞춘 검토 리스트를 활용한다.
+ 개인 업무 기록지, 용역별 업무 기록지
'안전진단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진단 관련 사이트 모음 (0) | 2025.04.03 |
---|---|
건설연도별 재료의 기본값(건설연도별 콘크리트 강도) (0) | 2022.05.23 |
[안전진단 실무자 인터뷰] 농업시설물 안전점검 기술자의 이야기 // 농업용저수지 정밀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0) | 2021.12.27 |
[논문 자료] 안전진단을 하면서 읽어보면 좋을 것 같은 자료 (0) | 2021.12.23 |
[국토안전관리원 Q&A] 시특법 "정기안전점검 평가 방법" (0) | 2021.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