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진단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동기 친구의 인터뷰 내용을 정리해봤다.
나와 같은 학과를 나왔고 안전진단이라는 일을 하지만 하는 업무는 다르다.
친구의 하는 일에 대해서 인터뷰를 통해서 알아보았다.
Q. 어떤 구조물에 대해서 안전점검을 실시하나요?
방조제, 농업용저수지, 양배수장 등의 농업시설물을 점검하고 있고
그 외 상하수도시설물과 교량 및 터널 등의 점검을 하고 있습니다.
Q. 가장 많이 해본 시설물은 어떤건가요?
농업용저수지를 가장 많이 실시해봤습니다.
Q. 해당 시설물에 대한 점검은 주로 어떤 수준으로 실시하셨으며, 점검 순서는 어떻게 되나요?
주로 정밀안전점검, 정밀안전진단 용역을 실시했습니다.
점검 순서는 다른 구조물과 동일하게 자료조사, 현장조사, 비파괴시험, 자료정리, 보고서작성 순으로 동일합니다.
Q. 해당 시설물은 주로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있으며, 어떤점을 가장 주위 깊게 점검할까요?
저수지는 크게 제방(댐), 여수로, 취수시설의 3가지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가지 구조물 중에서 제방(댐)은 재난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중대한 결함의 발생여부를 가장 주의깊게 살펴봐야 됩니다.
Q. 해당 시설물을 점검시 주의사항은 어떤게 있을까요?
저수지는 크게 콘크리트댐과 필댐(흙댐)으로 구성되며 농업용저수지는 대부분 필댐(흙댐)형식으로 되어있습니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손상발생시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지만 필댐의 경우는 손상위치를 특정하기가 힘들고 손상의 형태에 따라 바라보는 시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기존자료의 활용이 중요합니다.
Q. 해당 시설물에 대한 점검 결과는 어떻게 반영이 되나요?
점검결과의 반영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중대한 결함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일반적인 보수보강
방안을 제안합니다. 다만 중대한 결함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심한 손상들로 인하여
부분적인 D등급이 나오는 시설물의 경우 관리주체와 협의하여 대안방안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Q. 점검시 조사된 시설물에 문제사항이 있었던이 있나요? 그 경우 어떻게 조치했나요?
시특법시설물의 농업용저수지는 정기점검을 실시하고 있어 시설물의 운용에 중요결함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대부분의 문제사항은 통상적인 보수보강방안만을 제안합니다.
Q. 시설물의 안전등급을 결정하는 상태평가의 경우 어떻게 실시하나요?
다른구조물과 마찬가지로『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실무지침』에 의거하여 상태평가를 실시합니다.
Q. 비파괴 시험은 어떤것을 하나요?
다른구조물과 마찬가지로 비파괴 시험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정밀안전점검의 경우 반발경도, 탄산화시험을 실시합니다.
정밀안전진단의 경우 반발경도, 탄산화, 철근탐사, 초음파를 기본적으로 실시합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철근부식도, 염화물함유량시험, 코어채취 등을 실시하기도 합니다.
Q. 필댐에서 조사되는 대표적인 결함은 어떤 것이 있나요? 그리고 그런 결함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필댐에서는 주로 침식, 침하, 식생자생, 동물의 굴, 요철 등의 손상이 많이 있습니다.
대부분 인위적인 손상보다는 자연환경에 의한 손상이기 때문에 주의관찰인 경우가 많으며 심할경우 사면(단면)정비의 보수를 필요로 합니다.
Q. 통상적인 농업용저수지의 보수, 보강방안의 대표적인 것 3가지는 어떤게 있나요?
제방의 경우 사면정리(단면보수), 누수에 대한 그라우팅공법 등을 요하며, 여수로 및 취수시설의 경우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보수, 보강방안을 요구합니다.
'안전진단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진단 회사 운영 시스템 < PM 업무 편 > (0) | 2025.03.13 |
---|---|
건설연도별 재료의 기본값(건설연도별 콘크리트 강도) (0) | 2022.05.23 |
[논문 자료] 안전진단을 하면서 읽어보면 좋을 것 같은 자료 (0) | 2021.12.23 |
[국토안전관리원 Q&A] 시특법 "정기안전점검 평가 방법" (0) | 2021.10.08 |
[국토안전관리원 Q&A] 건진법 안전진단 "안전관리계획서 수립 및 승인" (0) | 2021.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