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건설현장 정기안전점검(건진법)

[건설기술진흥법 정기안전점검] 10m이상 굴착하는 건설공사 정기안전점검

white-noise 2021. 12. 14. 14:33
728x90

건설현장의 10m이상 굴착시 점검해야하는 안전점검

 

10m이상 굴착을 해야하는 건설현장의 경우 기존 항타, 항발기 사용하는 현장타설말뚝 등의 작업과 높이2m이상인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하는 건설공사 점검 등과 같이 기본적인 임시시설 및 가설공법에 대한 점검을 실시해야하고 흙막이의 상태 및 장비사용에 대해서도 점검을 동시에 진행해야한다.

 

다만, 주요 점검사항인 굴착점검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굴착된 구간의 바닥면은 평탄하게 유지하면서 작업이 진행되는가? ex) 굴착된 구간의 바닥면은 어느 한쪽이 움푹 파이거나 한면이 깊게 굴착된 곳이 없이 평탄한 바닥으로 유지, 장비전도, 근로자의 넘어짐 등의 예방

2. 굴착 장비를 안전하게 사용하고 있는가? ex) 적절한 굴착 기계 사용, 작동상태의 이상 유무 확인, 작업 공간 확보 등

3. 신호수의 배치는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ex) 작업자 무단접근 예방

4. 굴착하여 노출된 흙막이 부위는 콘크리트 채움불량, 균열, 파손, 변형, 벌어짐, 고정불량 등의 재료적 손상 및 시공 불량 등의 결함이 없는 상태인가? ex) 토사의 유입, 붕괴 예방

5. 굴착 및 흙막이 공사 전에 지하매설물의 유무를 파악하여 시공에 착수했으며, 지하매설물로 인한 문제가 없는가?

6. 흙막이 구간 및 지하철, 인근 건축물 등에 계측장치를 설치하고 계측관리 문제는 없는가?

7. 계획된 순서대로 굴착작업을 실시하고 있는가?

8. 그 외 안전상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이상징후가 없는가?

 

굴착기를 사용하는 경우 주의해야할 안전 사항

 

1. 법면, 토질이나 지층의 상태에 위험은 없는가?

2. 작업구역내에 관계자 이외의 출입금지 조치를 하고 있는가?

3. 토질에 적합한 굴착 구배를 유지하고 있는가?

4. 과굴착은 하고 있지 않는가?

5. 굴착법면의 붕괴 위험이 없는가?

6. 굴삭기 후면부에는 경광등, 접근위험 표지가 설치되어 있는가?

7. 굴삭기 운전원은 적정한 자격을 보유하고 있는가?

8. 굴삭기 버켓과 붕대의 연결부는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는가?

9. 관리감독자의 안전모 등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가?

10. 굴착 단부측 안전난간대 등 근로자 추락 방지 조치를 하고 있는가?

11. 토사 상하차 및 차량계 건설기계 작업시 신호수 및 감시자 배치는 적절한가?

12. 그 외 안전상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이상징후가 없는가?

 

 

 

산업재해예방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https://www.kosha.or.kr/kosha/data/mediaBankMain.do?medSeq=33264&codeSeq=1120000&medForm=104&menuId=-1120000104&mode=detail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자료마당 | 안전보건자료실

발간번호 2013-교육미디어-1217 자료형태 OPS 언어 Korean(한국) 키워드 위험작업,화기작업,밀폐공간,굴착,굴착공사,굴착작업,정전,인화성,화학물질,위험물질,유해성,화재,폭발,누출 내용 위험작업/

www.kosha.or.kr

 

굴착작업안전에 대한 자료를 참고자료

 

29.굴착작업 안전.pdf
1.90MB

728x90